Unity6 [Unity certified] 오브젝트 캐싱 (Object Caching) 유니티 인증 시험에 출제되었던 내용입니다. 최적화 관련된 내용에서 반드시 출제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브젝트 캐싱(Object Caching)이란 사용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를 미리 별도의 변수로 저장해두고 사용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유니티를 사용하는 개발자 측면에서는 대부분이 Component Patten을 사용한 시스템 기반으로 동작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접근하여 만들고 편집하기 위하여 해당 컴포넌트를 알아야합니다. 유니티에서는 구현한 컴포넌트를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찾기 함수를 제공합니다. GetComponent, Find함수 등이 그것입니다. https://docs.unity3d.com/ScriptReference/GameObject.GetComponent.html https://docs.u.. 2022. 2. 14. [Unity Certified] sqrMagnitude vs magnitude 유니티 인증 시험에서 출제된 문제중 하나입니다. 최적화 관련된 질문을 하는 경우에 반드시 출제될 내용으로 보시면 됩니다. https://docs.unity3d.com/ScriptReference/Vector3-sqrMagnitude.html https://docs.unity3d.com/ScriptReference/Vector3-magnitude.html Unity - Scripting API: Vector3.sqrMagnitude The magnitude of a vector v is calculated as Mathf.Sqrt(Vector3.Dot(v, v)). However, the Sqrt calculation is quite complicated and takes longer to execute .. 2022. 2. 14. [Unity Certified] 소프트웨어 공학 테스트의 종류 유니티 인증 시험 진행 도중 소프트웨어 공학 테스트 종류에 대한 내용이 나와서 정리해둔다. 기존에 정리가 잘 된 블로그가 있어서 퍼왔다. 출처: https://eehoeskrap.tistory.com/14 [Enough is not enough] Black Box Testing (블랙 박스 테스팅) : 블랙 박스 테스팅이란 시스템의 내부 설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테스팅으로서 고객의 요구사항 등이 담긴 프로그램 명세서를 기반으로 테스팅된다. White Box Testing (화이트 박스 테스팅) : 화이트 박스 테스팅이란 블랙 박스 테스팅과는 다르게 시스템의 내부 설계를 고려한 테스팅으로서 시스템의 코드 내부의 로직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이 테스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소프트웨어와 .. 2022. 1. 7. [초보 프로그래밍 팁] 내 실수를 찾아줘! Visual Studio 디버깅 테크닉! - 제 3편 기본 디버깅 창 오늘은 디버깅에 필요한 중요한 기본 창들을 몇개 알아보겠습니다. - 중단점 창 - 호출 스텍 창 - 조사식 창 순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중단점 창 중단점 창은 Ctrl+Alt+B 단축키 입력 또는 비쥬얼 스튜디오 상단의 [디버그]-[창]-[중단점 창]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중단점 창은 자신이 설정한 중단점들을 리스팅 하여 보여줍니다. 내가 어떤 중단점을 어디에 걸었는지 볼 수 있으며, 불필요한 경우 제거하거나 꺼둘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단점을 더블 클릭하면 해당 코드로 이동된다는 점! 문제가 되는 의심점 부분들을 넘나들면서 코드를 확인해 볼 수 있다는 것은 디버깅 하는데 큰 장점이 됩니다. 2. 호출 스텍 창 호출 스택 창은 Ctrl+Alt+C 단축키를 사용하거나 비쥬얼 스튜디오 상단의 [.. 2021. 5. 4. 이전 1 2 다음